한국산업표준(KS) 이상의 제품에 대해 KS마크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국가인증제도입니다.KS인증이란? KS인증은 한국 산업 표준으로, 대한민국 산업 전 분야의 제품 및 시험, 제작 방법 등에 대하여 규정하는 국가 표준입니다
KS인증(제품)

한국산업표준(KS)
한국산업표준(KS)는 산업표준화법에 의거한 국가표준으로 크게 2가지(제품인증, 서비스인증)로 구분이 되며, KS표준과 심사기준이 제정되어 있는 항목에 한해 공장심사와 제품심사를 통해 KS인증이 부여된다.
인증
1. 인증대상
KS표준과 심사기준이 제정되어 있는 KS표준 제품을 생산 하는 업체를 대상으로 함.
2. 인증신청
- 신청시기: 연중 수시로 신청 가능함
- 신청서류: 사업자등록증, 공장등록증, 제조설비목록, 검사설비목록, 주요 자재관리(부품, 모듈, 재료 등) 목록, ISO 9001의 인증서 사본(해당하는 경우), 내부심사 결과(해당하는 경우), 부적합 시정조치 결과(해당하는 경우)
3. 심사절차
- 신청시기: 연중 수시로 신청 가능함
[공장심사항목]
가. 품질경영관리 1025_e2a30b-ae> |
5개 항목 (1개 핵심품질) 1025_3ab760-f7> |
나. 자재 관리 1025_a2a111-a2> |
6개 항목 (1개 핵심품질) 1025_b52d17-7b> |
다. 공정 · 제조 설비 관리 1025_5854b2-5d> |
8개 항목 (1개 핵심품질) 1025_cea4ab-e8> |
라. 제품 관리 1025_5233db-91> |
6개 항목 (2개 핵심품질) 1025_251874-90> |
마. 시험 · 검사 설비 관리 1025_f45033-6d> |
3개 항목 (1개 핵심품질) 1025_df3894-13> |
바. 소비자 보호 및 환경 · 자원 관리 1025_68a771-b1> |
5개 항목 (1개 핵심품질) 1025_84b38f-01> |
3. 심사절차
- 심사 신청 비용: 1개 품목당 50만원(1개 품목 추가 당 25만원)
- 공장 심사 비용: 인증 심사원 1인당 33만원/1일 + 출장비용
* 신규 심사인 경우 1개 품목: 2일, 2~3품목: 2일, 4품목이상: 3일
3. 처리기간
- 인증 신청 후 40일 이내(공휴일 제외, 제품 시험기관 제외)
3. 인증기관
- 산업통산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한국표준협회(KSA),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 한국조명아이씨티연구원(KILT), 한국가스안전공사(KGS), 한국로봇산업진흥원(KIRIA), 한국에너지공단(KEA), FITI시험연구원(FITI)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한국임업진흥원(KOFPI)
-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한국상하수도협회(KWWA)
- 농림축산식품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해양수산부 국립수산물관리원: 한국식품연구원(KFRI)
3. 유효기간
- 별도로 정한 유효기간은 없으나 최초 인증 취득 연도 기준 3년마다 정기심사 실시하여야 인증 유지됨.
인증혜택
- KS 인증마크를 제품에 표시, 인증 업체임을 홍보할 수 있음.
- KS 인증 제품 우선 구매제도 (산업표준화법 제 25조)
- 검사 또는 형식승인 등의 면제 (산업표준화법 제 26조)
- 입찰 계약 특례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제 23조)
- 기업 이미지 향상